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사 토막지식

건축기사시험/한국건축사/전통건축의 배치 평면 /시대별 전통건축물

by 익스크롬 2020. 3. 6.
반응형

한국의 건축 양식

지붕양식

모임지붕- 꼭지점에서 비붕의 골이 만나는 지붕이다, 추녀마루로만 구성되며 용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목잡, 정자 등의 장방형, 다각형 평면의 비붕으로 사용되어 있다

맞배지붕- 지붕면이 앞쥐에느 있고 측면에는 없다. 측면 벽면이 삼각형인 형태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가 있고 추녀마루는 없다.

우진각지붕- 네면에는 모두 지붕면이 있다,전후 지붕면은 사다리꼴이며 양측 지붕면은 삼각형인 형태이다. ,용마루,추녀마루로 구성되며 내림마루는 없다.

팔각지붕- 맞배지붕과 우진각지붕이 합쳐진 가장 화려하고 장식적ㅇ인 지붕이다 우물천정을 가설하며 다포식에서 많이사용한다.

다포식 건축양식

주로 사찰이나 궁궐 등 정전에 사용을 한다 주심포 형식에 비해 지붕하중을 등분포로 전달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라고 할수 있다. 간포를 받치기 위해 창방 외에 평방이라는 부재가 추가되었으며 주로 팔작지붕이 많다.

주심포식 건축양식

 공포를 기둥 상부에만 배열한 방식이며 부재가 정연하게 가공되고 조각이 많아 인공성이 강하다. 맞배지붕이 대부분이며 천장을 가설하지 않아 서까래가 노출된다. 우미량을 사용하여 단차가 있는 도리를 계단 형식으로 연결한다. 평방은 설치하지 않으며 소로는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하는 편이다.

한국의 장방형 다각형 평면- 쌍봉사 대웅전은 1칸 정방형 평면을 가진 3층 목탑이다, 다각형 평면은 육각 팔각형이 사용되었고, 주로 정자에 사용되었다.

 

다포식 건축양식- 기둥위헤 창방과 평방을 놓고 그위에 공포를 배치하였다.

익공식 건축양식- 공포가 새의 날개모양으로 한 방식이며  공포형식 중 가장 간결하다 궁궐의 정전이나 사찰의 대웅전에 사용되었다
주포식 건축물- 봉전사(극락전) 관음사(원통전), 부석사(무량전,조사당), 수적사(대웅전), 무위사(극락전), 강릉 객사문 등이 있다
다포식 건축물- 창경궁(명전전), 남대문, 동대문, 심원사(보광전), 불국사(극락전), 전등사(대웅전), 화암사(극락전), 위봉사(보광명전), 석왕사(응진전), 봉정사(대웅전)등이있다, 가장오래된 건축물로는 심원사(보광전)이 있다.
익공식 건축물로는 강릉 오죽현이 있다.
절충식 건축물로는 경복궁(항원정)이 있다.

*사량가는 오량가에서 종도리가 없는 구조이다, 일반서민의 살림집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정보 자료방 바로가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