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자료방(무료)/무료정보방

매스콘크리트 (돈버는인테리어)

by 익스크롬 2025. 5. 4.
반응형

"매스콘크리트(Mass Concrete)"는 대형 구조물에 사용되는 대용량의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두께가 80cm 이상이고, 한 번에 많은 양을 타설할 때 사용하는 콘크리트를 매스콘크리트라고 합니다.

특징과 중요성:

수화반응(시멘트가 물과 반응)으로 내부 온도가 크게 올라가는데, 외부와 온도 차이가 심하면 **균열(Cracking)**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온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보온, 냉각관, 타설 계획 등을 통해 온도 상승을 조절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곳:



교량 기초

발전소 구조물

대형 기초 슬래브 등


필요하시면 시각 자료나 도표로도 설명드릴 수 있어요. 더 알고 싶은 부분이 있으신가요?


물량이 많은 매스콘크리트(Mass Concrete) 공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화열로 인해 온도 상승과 균열 위험이 높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부터 시공까지 철저한 계획과 공법 적용이 필요합니다. 아래에서는 관련 공법과 온도 균열 방지 대책을 블로그 형식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

[매스콘크리트 시공 시 온도 균열 방지 대책 및 공법 소개]

대형 구조물에서 사용하는 매스콘크리트는 타설 두께가 80cm 이상인 경우가 많아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냉각 과정에서 외부와의 온도차로 인해 수축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온도 균열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공법들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1. 수화열 제어를 위한 혼합재 사용
매스콘크리트의 온도 상승을 줄이기 위해 플라이애시(Fly Ash), 고로슬래그(Slag), 실리카흄(Silica Fume) 등의 혼합재를 사용합니다. 이들은 시멘트의 양을 줄여 수화열 발생을 감소시키며, 장기 강도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2. 프리쿨링(Pre-cooling) 공법
타설 전 콘크리트의 초기 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수나 얼음을 혼합해 콘크리트를 배합합니다.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 효과적이며, 초기 수화열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포스트쿨링(Post-cooling) 공법
내부에 냉각 배관을 매설하여 찬물을 순환시켜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대형 구조물에서 자주 사용되며,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4. 온도 센서 및 계측 시스템 운영
시공 후에는 콘크리트 내부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합니다. 이를 통해 급격한 온도 차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타이밍에 맞춰 냉각이나 보온 조치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5. 적절한 양생 및 보온
콘크리트 타설 후에는 보온재, 단열재 등을 활용해 급격한 외기 노출을 막고, 서서히 식도록 유도합니다. 외부의 찬 공기로부터 보호해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한 표면 균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6. 타설 계획의 분할 및 시차 조절
전체 구조물을 한번에 타설하지 않고 구획을 나누어 시차를 두고 시공함으로써 발열 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타설 순서와 간격 조절은 전체 구조의 열 균형을 맞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

[마무리]
매스콘크리트는 구조적 안정성과 장기 내구성이 중요한 공정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콘크리트를 붓는 것이 아닌, 체계적인 열관리 전략과 과학적인 공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설계자, 시공자, 감리자 모두가 협력해 온도 균열을 예방한다면, 훨씬 안전하고 완성도 높은 구조물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